냉각탑 자료실

냉각탑 설치시 유의점 및 배치간격

우진CT 2007. 2. 28. 21:22
냉각탑 배치간격 및 설치시 유의사항 냉각탑자료실

2007/02/28 09:37

http://blog.naver.com/hwsin66/100034783562

COLING TOWER 간  배치간격

COOLING TOWER 설치시 주위와 탑체와의 간격은 아래와 같이 최소간격을 유지하여 주십시오.

A) L치수는 장애물이 완전히 메워진 경우이며, 개구부가 있으면 개구율에 따라 L치수는 변화할 수 있습니다.

B)장애물의 높이가 냉각탑보다 높은 경우엔, 순환 공기의 재순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HOOD를 설치하여 주십시오.

L 치수
100 R/T 이하 2.0m 이상
125~175 R/T 2.5m 이상
200~400 R/T 3.0m 이상
500~ R/T이상 3.5m 이상

 

 

1. COOLING TOWER 설치시 유의사항

1) 탑에서 배출된 공기가 다시 탑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벽등과의 거리를 충분히
잡고 탑을 둘러 쌓는 벽의 높이는 냉각탑 높이 이하로 한다. (항목 1-7 참조)

2) 설치는 풍압이 걸리기 쉬운 장소이므로 BOLT로 체결하여 수평되게 설치한다.

3) 냉각탑 주위의 배관도중에 공기가 차지 않게 냉각탑을 향해서 1/200의 상향구배
로하고 공기는 냉각탑에 빠질수 있도록 한다. 합성수지제의 냉각탑은 특히 탑에 배관을 접속할 때 무리한 배관으로 인한 배관의 하중이 냉각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냉각탑과 배관의 접속개소에는 방진을 고려하여 FLEXIBLE JOINT를 사용 시공한다.

5) 통수전에 냉각탑내를 CLEANING후 통수한다.

6) 냉각탑의 소음은 12m 떨어진 위치에서 COUNTER FLOW 방식의 경우 저소음형으로 70-76폰 정도이고 주택가, 학교, 병원, 도서관 등 특히 소음이 문제되는 건물과 인접해서 설치할 경우, 또는 극장 카바레, 호텔 등 심야에 냉각탑을 운전하게 되는 경우는 차음벽을 설치하도록 관련 부서와 협의한다.

7) 측벽과 냉각탑의 간격은 너무 가까우면 냉각 효과가 감소하므로 적어도 탑높이의
1/2 이상 떼어준다.    



 

8) 연도가스를 흡입하지 않도록 굴뚝 정상과의 거리는 되도록 떨어지게 하는 동시에
풍향에 유의한다.


     
 

9) 냉각탑의 방진장치는 충분한가 조사한다.

2. 냉각수의 온도제어 방법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하는 경우나 연간공조를 하는 경우, 항온항습실의 공조, 스포츠센터 등 응축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는 냉각수의 수온제어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1)
3-WAY VALVE에 의한 방법은 PUMP와 냉각탑의 LEVEL차가 적을 때는 설치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CHECK VALVE를 설치한다.
< 3-WAY VALVE에 의한 냉각수 수온제어>


    
 

2) 2-WAY VALVE에 의한 수온제어 응축기 가까이 설치하는 것이 제어성이 좋고, VALVE SIZE는 정확하게 Cv값에 의해 결정한다.


    
 

3) 냉각탑 FAN MOTORON-OFF에 의한 수온제어는 "1)"의 방법보다 제어성이 나쁘나 PACKAGE 사용시에는 적합하다. (윗 그림 참조)

3. 겨울철에 냉각탑을 사용할 경우

IMMERSION TYPE HEATER 를 냉각탑수조내에 설치하여 동결을 방지토록 한다HEATER BATTERY의 부속품으로는 CONTROL BOX, 온도조절기, 과열 방지용 S/W가 공급될 수 있도록 자재발주시 SCOPE OF SUPPLY를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