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용 냉각탑의 종류중에서 비산문제가 많이 발생되는 타입은 원형냉각탑입니다.
직교류형이나 팩키지타입 대향류 냉각탑은 내부에 별도의 비산방지판(eliminator)이 설치되어 있어
비산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원형냉각탑은 소형의 경우는 비산방지판이 없이 시공되고 있으며 중대형의 경우도 살수노즐파이프 윗면에 F.R.P 판 또는 철판등으로 비산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 비산방지판의 역할은 분사된 물이 충진재와 충돌하여 튀어 오르는 것을 일부만 방지할 수 있을 뿐 풍량과다나 노즐의 분사압력 과다 또는 노즐구멍의 막힘등으로 인한 물의 비산을 방지하지는 못하는 실정입니다.
공조용 원형 냉각탑에서 비산문제(민원등)가 발생되면 별도의 비산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비산방지장치의 설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시공되고 있습니다.
첫째 ,후드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큰 물방울의 비산에는 약간의 효과가 있으나 작은 물방울의 비산은 방지하지 못한다. 그리고 후드를 설치하는 요인은 비산방지 보다는 소음감소 및 토출공기의 재순환방지에 보다 효과가 높은 편이다.
둘째, 후드 및 비산방지판 병합타입 - 기존에 후드가 설치되어 있으면 후드상단부에 비산방지판 베이스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비산방지판을 설치하는 타입으로 내부 충진물 및 산수기의 상태 점검등에는 유리하나 후드와 비산방지시설을 함께하게 되면 아무래도 비용이 많이 증가되게 된다.
셋째. 내부식 비산방지장치- 냉각탑의 FAN BLADES(날개) 와 NOZZLE HEADER(산수기=살수기)의 사이에 지지대를 설치한 후 지지대 위에 비산방지판(Drift Eliminator)을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모듈러 또는 팩키지 타입의 대향류 사각냉각탑의 구조에서 볼 수 있는 비산방지판을 원형냉각탑 내부에 설치한 형태로 비용과 효과면에서 가장 권장할만한 방법이다.
직교류형 냉각탑도 펜풍량 과다나 충진물 및 내부구조 불량으로 비산이 발생되는 냉각탑이 많은데, 이곳(직교류형냉각탑)에도 고효율의 비산방지판을 설치하게 되면 비산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에 설명한 내용에 대한 참고자료 사진입니다.
1.후드만 설치된 상태 사진 (위.아래사진)
2.후드 및 후드상부에 비산방지판이 설치된 상태(위.아래사진)
아래사진은 강남 아세아타워 및 경기도청에 시공된 실제 사진
상: 직교류형 냉각탑에 설치된 고효율 비산방지판 시공 상태 사진.
하 : 원형냉각탑에 시공된 비산방지판 사진.
'냉각탑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각탑부품-냉각탑 부품명칭 및 사진자료 (0) | 2008.03.08 |
---|---|
냉각탑 수처리제-냉각탑약품판매 (0) | 2008.03.08 |
냉각탑 설치시 유의점 및 배치간격 (0) | 2007.02.28 |
냉각탑용 충진물의 장단점- 충진물의 종류 및 특징 (0) | 2007.02.08 |
냉각탑 설치장소 선정시 유의사항 (0) | 2007.02.08 |